미래전략실

중국인들은 왜 한국 아파트를 살까? 본문

Economy is...

중국인들은 왜 한국 아파트를 살까?

magpie pumpkin 2023. 8. 10. 09:39

 

우리나라에 중국인들은 어떻게 자리를 잡았나?

 

비단장수 왕서방 예시 이미지
출처 : 마이데일리


비단장사 왕서방을 말하듯 우리나라에 지원을 온 청나라 군인들에게 물품을 납품하던 상인들이 조선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그때 당시에도 중국보다 우리나라가 인건비를 3배 정도 높게 쳐주게 되어 코리안 드림을 꿈꾸는 중국 노동력 또한 유입되게 되었는데...
이들이 서서히 자영업을 하면서 이발소나 음식점을 하면서 상권을 형성해 나갔다.



중국인이 영주권을 받는 방법은? (ft.건강보험 혜택)

 

중국인 건보 먹튀 뉴스기사 캡처
출처 : SBS BIZ


*상하이방의 돈의 일부가 비자 없이 입국 가능한 제주도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2010년부터 *부동산 투자 이민제로 인해 제주도에 부정한 돈이 투자되기 시작한다. 또한 영주권을 취득하게 되면 건강보험 혜택이 가능한데 영주권 보유자의 친족들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요즘 문제가 있는 외국인 건강보험 먹튀 현상 중에 하나이다.

 

*상하이방

  • 중국 공산당 내 하나의 비정식 계파
  • 1980년대 중반부터 중국 권부의 실세로 등장한 상하이 출신의 인사들로 정치 이념보다는 경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부동산 투자이민제 

외국인이 투자대상국에서 법으로 지정한 부동산에 투자하고 이를 일정 기간 보유하고 있는 경우 투자대상국에 거주할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3년동안 거주가능, 5년간 투자 유지 시 영주권 취득)

 

  • 2010년 : 제주도 전역
  • 2011년 : 강원 (대관령 알펜시아)
  • 2011년 : 전남 (유수경도 해양관광단지)
  • 2011년 : 인천 (영종지구, 송도 및 청라지구)
  • 2013년 : 부산 (해운대 관광리조트, 동부산 관광단지)
  • 2016년 : 강릉 정동진 (차이나드림시티)

※ 약 5억~7억 규모의 투자금액이면 거주자격 부여
※ 제주도는 2015년 전역에서 관광지와 관광단지로 영역 축소
※ 2016년 말 기준 전국 외국인 보유토지의 8.6%를 제주도가 차지 (중국인 42.1%)



제주도로 들어온 돈은 무엇이 되었나?


대표적인게 제주 신화월드이며 그 안에는 랜딩카지노가 있고 꽤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 곳도 정치적으로 이슈가 많은 장소이기는 하나 스킵하고, 경제적 관점에서 보자면 시진핑이 부패와의 전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외 부동산 투자를 2017년부터 막기 시작하였다. 해외사업이나 투자가 막히면서 제주 신화월드의 매출도 급감하게 되었고 정치적인 이유로 해당 사업지도 중국에 헌납하는 모양새가 되어가는 과정인 듯 하다.

 

2019년 패닉바잉 현상의 부스터가 중국 돈?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스틸 ⓒ 롯데엔터테인먼트
출처 :&nbsp;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스틸 ⓒ 롯데엔터테인먼트


중국에서 넘어 온 홍콩인들이(*상하이방) 강남, 용산 같은 고가의 아파트를 2019년부터 사들이기 시작했다. 
홍콩을 삼키려는 중국에 두려움을 느끼고 돈의 일부가 한국 부동산으로 흘러들어온 것이 집 값이 상승하는데 일부 영향을 끼쳤을 거라 생각이된다. 하지만 이 돈으로만은 부족하고 부스팅을 하고 있는 주력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들로 통계되고 있다. 

 

 

왜 한국의 부동산을 구매하는가?

 

학생비자를 받고 온 중국인 여학생이 인천에 빌라 2채를 매입해 월세 장사를 하고 있다는 기사가 있다. 

투자의 목적으로 저평가되었던 한국의 부동산에 투자를 하는 개념과 중국 본토와 가까운 지리적인 이점, 그리고 한국 문화를 선호하는 젊은 세대들의 트렌드에 세컨 하우스의 개념으로 부동산을 구매하고 있는 추세였다. 그래서 정부는 외국인 부동산 투기를 막는 정책을 마련해 내국인과의 역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2023.08.08 - [마케팅 메모] - 아파트 주거의식 설문조사 (ft.국토연구원)

 

아파트 주거의식 설문조사 (ft.국토연구원)

2022년에 발표한 국토연구원의 자료 중에 재미있는 통계가 있어 공유한다. 요즘 칼부림과 같은 묻지마 범죄와 흉흉한 사건 사고가 많은 사회적 현상이 점점 주거공간에 대한 니즈로 변화될 것으

magpie-pumpki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