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략실

SM엔터테인먼트! 이것이 '쩐의 전쟁'인가요? 오늘 SM 주가를 좀 지켜봐야겠다 본문

Economy is...

SM엔터테인먼트! 이것이 '쩐의 전쟁'인가요? 오늘 SM 주가를 좀 지켜봐야겠다

magpie pumpkin 2023. 3. 7. 08:16

에스엠엔터테이먼트 로고

 

3/6 에스엠 주가

 

[세줄요약]

1. 카카오가 SM엔터 주식을 시장에서 최대 35% 확보할거다

2. 그래서 오늘도 SM엔터 주식은 올라갈까?

3. 카카오의 자존심 싸움인가?

 

 

카카오, SM엔터 주당 15만원에 공개매수…최대 35% 확보하기로

카카오가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시장에서 공개 매수해 지분 최대 35%를 확보하기로 했다.
하이브와의 경영권 확보 전쟁에서 장고를 거듭하던 카카오가 결국 승부수를 던지며 반격에 나선 것이다.

7일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공고에 따르면 양사는 이날부터 26일까지 SM엔터 주식을 주당 15만 원에 총 833만3천641주 공개 매수한다.
이는 SM엔터 주식의 35%에 해당하며, 카카오와 카카오엔터가 절반씩 나눠 매수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의 공개 매수가격은 하이브가 지난달 공개 매수에서 제시한 주당 12만 원보다 25% 올렸다. 전날 SM엔터 종가인 13만100원보다 14.5% 높다.

공개매수에 성공하면 카카오는 이수만 전 SM엔터 총괄 프로듀서에게 사들인 지분을 포함해 총 의결권 지분 19.43%를 확보한 하이브를 제치고 SM엔터 최대 주주에 오를 수 있다.
카카오가 이런 승부수를 던진 것은 법원의 가처분 인용 결정으로 SM엔터 지분 9.05%를 확보하려는 계획이 어그러지자 지분 확보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하이브 측에서 SM엔터 경영권 확보를 위해 진행한 주식 공개매수가 지분 0.98%만 추가 확보하면서 실패로 돌아간 만큼 발 빠른 대항 매수를 통해 불리하게 돌아가던 판세를 바꾸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매수를 위한 실탄은 확보돼 있다. 카카오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국부 펀드와 싱가포르투자청에서 1조1천5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 중 약 9천억 원 규모의 자금이 1차로 지난달 24일 들어왔다. 나머지는 7월에 납입된다.

다만 하이브가 카카오의 공개 매수에 맞서 더 높은 가격에 재차 공개 매수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하이브 역시 추가 자본 조달 등 다양한 경영권 확보에 나섰으며, 오는 31일 SM엔터 주총에서 자신들이 추천한 이사진 선임을 위해 의결권 확보전에 사활을 건 것으로 알려졌다.

에스엠 지분구조의 변화

 

2023.03.07 - [뇌피셜 주식 메모] - SM엔터 사태의 시발점, 행동주의 펀드가 뭐야?? (feat.재벌집 막내아들)

 

SM엔터 사태의 시발점, 행동주의 펀드가 뭐야?? (feat.재벌집 막내아들)

행동주의 펀드? 특정 기업 지분을 매입한 뒤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 인수합병(M&A), 재무구조 개선, 지배구조 개편 등 주주가치를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요구해 주식 가치를 끌어올리는 헤

magpie-pumpkin.tistory.com



하이브 공개매수 참패, 카카오는 계약해지… SM 운명은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 주식 공개 매수가 실패로 끝났다. 6일 하이브는 공시를 통해 “공개 매수를 통해 SM 주식 총 23만3817주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지난 1일까지 진행된 주당 12만원 공개 매수를 통해 SM 지분 25%를 사들이려고 했는데 1%에도 못 미치는 0.98% 지분을 늘리는 데 그쳤다. 이로써 하이브가 가진 SM 지분은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로부터 인수한 14.8%에서 15.78%로 늘어났다. 이수만 전 총괄이 보유 중인 지분(3.65%)을 합쳐도 19.43%에 그친다.

인수 경쟁자인 카카오도 지분 확보 전략에 치명상을 입은 상태다. 이날 SM엔터테인먼트는 “법원의 가처분 인용 결정에 따라 카카오와의 신주(新株)·전환사채 발행 계약을 해제했다”고 공시했다. 법원이 지난 3일 “카카오가 SM의 신주 발행 등을 통해 지분 9%를 취득하는 것은 위법”이라며 하이브 진영에 선 이수만 전 총괄 측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SM과 카카오의 투자 계약은 일단 중단됐다.

공개 매수는 실패로 끝났지만, 여전히 하이브가 유리한 상태다. 하이브는 이날 SM에 서한을 보내 “9일까지 카카오 지명 이사 후보에 대한 이사회 추천 철회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주식 계약 철회는 물론이고 카카오 측의 경영 개입 시도도 말끔히 씻어내겠다는 뜻이다.

하이브는 공개 매수 실패, 카카오는 신주 발행 금지 가처분으로 양측 모두 결정적 승기를 잡기 못해 ‘SM 사태’의 결말은 안갯속이다. 금융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주 법원이 이 전 총괄의 가처분을 받아들이면서 ‘하이브 측 판정승’으로 흐르는 듯하지만, 카카오가 향후 높은 가격에 공개 매수를 진행해 지분을 키운다면 역전승이 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끝까지 예측불허”라고 말했다.

◇하이브, 카카오 경쟁 이어질 듯

하이브나 카카오 어느 쪽도 경영권 확보에 필요한 안정적 지분을 거머쥐지 못한 만큼, ‘본게임’은 오는 31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들의 표 대결로 판가름 날 가능성이 커졌다. 1% 미만을 가진 소액주주들이 보유한 지분을 합치면 60%가 넘는다. 누가 주총에서 더 많은 개미를 설득해서 끌어들이느냐로 승부가 갈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만약 이번 달 주총 싸움에서도 양측이 서로 엇비슷한 표를 얻는다면, 양측이 추천한 이사들이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되면 각종 SM 경영 현안에 대해 이사들이 편을 가르고 견제하면서 의사 결정이 지연되는 등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

이날 SM 주가는 종일 등락을 거듭했다. 하이브 쪽이 승기를 잡아 싸움이 끝난 것 아니냐는 분위기 속에 오전 중에는 전 거래일 대비 3.48% 하락했다가, 오후 들어서는 ‘막대한 자금력을 가진 카카오가 이대로 물러설 리 없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4.41% 오른 역대 최고가를 찍기도 했다. 거래량은 239만여 주로 직전 거래일인 지난 3일 거래량(107만여 주)보다 배 이상 많았다. 결국 0.7% 오른 13만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증권가에서는 “주총 때까지 계속 큰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소액주주가 SM 운명 가를 듯

‘K팝 원조 기획사’인 SM을 놓고 뜨거운 지분 확보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우리나라가 음원이나 TV 프로그램, 영화, 라디오, 뮤지컬 등 콘텐츠로 해외에서 벌어들인 이른바 ‘한류 수지’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벌어들인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지는 12억35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가 나온 2006년 이후 최대다.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달러당 1291.9원)로 환산하면 약 1조5956억원 정도다.

하이브와 카카오 양측은 소액주주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하이브는 지난 2일 주주 제안 캠페인 페이지 ‘SM 위드 하이브(SM with HYBE)’를 열고 소액주주들을 대상으로 의결권 위임을 권유하고 나섰다. 이수만 전 총괄도 지난 3일 공개 편지를 통해 ‘포스트 이수만은 하이브’라며 하이브를 지지해줄 것을 호소했다. SM은 소액주주들에게 서한을 보내 “하이브에 인수되면 SM의 DNA가 모두 사라질 것”이라고 호소하는 중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