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is...

금리가 뭔가요, 부동산과 금리는 무슨 관계인가요?

magpie pumpkin 2023. 10. 25. 13:36

응답하라 1988
출처 : 응답하라 1988

금리가 조금 떨어져 갖고 한 15% 밖엔 안 되지만,
그래도 따박따박 이자 나오고, 은행만큼 안전한 곳이 없재

 


 

티끌 모아 태산은 옛말이다

그 티끌을 과거에는 정말 예금/적금으로

모으면 태산이 됐을지도 모른다

 

과연 현재도 그럴까?

갑자기 이 부분이 궁금해졌다

 

 

과거~현재 예금 금리 추이

 

예금 금리 추이
출처 : 한국은행 - 숫자로 보는 광복 60년

  • 1970년대 : 공업화기반 조성기에서 중화학공업 육성기로 변화 
  • 1980년대 : 경제 안정기반 구축기
  • 2000년대 : 구조 개혁기

개발도상국이었던 우리나라는 많은 투자를 해야 했다.

그러려면 역시 많은 돈이 필요했을 것이고 

수신 금리를 올려 현금을 은행에 집중시킬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과거의 수신 금리를 보면 최대 22.8%까지 올랐던 것을 볼 수 있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금리는 점차 내려가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 시국에는 국가에서 유동성을 많이 풀었기 때문에 수신 금리가 매우 낮았고,

인플레이션의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은 금리가 다시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금리의 경제 구조를 알아야 한다

 

사실 나는 경제에 관해 잘 모르지만 아래와 같은 기본 개념정도만 상식으로 가지고 있다.

 

이미지 출처 : NEWSIS

 

기준 금리는 계속 동결 중이지만 변동성(전쟁)으로 인해 언제 상승해도 이상하지 않은 현재이다.
주담대도 금리가 내려올 생각을 하지 않아 부동산 시장도 얼어붙고 있다.


1.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시장이 얼어붙었을 때 은행들은 고금리 상품을 출시하여 현금을 확보했다.
2. 은행들은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두려워한다.
3. 고금리 상품이 만기가 다가오고 있다.
4. 은행들은 다시 또 고금리 상품을 출시하여 돈을 가둬두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5. 은행들은 고금리 수신(예금) 상품의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여신(대출) 금리를 올려 수익을 올려야 한다.
6. 주담대가 다시 반등하여 최대 7%를 찍은 바 있다.
7. 반등을 모색하던 부동산 시장은 높아지는 대출 금리로 다시 거래량이 떨어지고 있다.

※ 참고로 미국은 주담대가 고정금리라 연준이 금리를 올려도 기존 대출자의 고통은 없다. 우리나라는 다르다.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31018021900641?input=1825m

 

'레고랜드 예금' 만기 앞둔 은행들…금리 경쟁 가열

'레고랜드 예금' 만기 앞둔 은행들…금리 경쟁 가열 [앵커] 최근 은행 예금 금리가 4%대까지 올랐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7%대까지 올랐는데요. 고금리 예금 상품

www.yonhapnewstv.co.kr

 

https://www.inews24.com/view/1645880

 

"주담대 금리 너무 높다"…아파트 상승거래 8개월 만에 감소

직방, 지난달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 47%…하락 거래 비중은 소폭 증가 "고금리·특례보금자리론 중단 영향"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시 높아지고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판매가 중단되면서 전국

www.inews24.com

 

 

3줄 요약

 

1. 수신(예금) 금리가 오를 때 여유자금을 은행에 묶어두자

2. 부동산 투자에 관심 있다면 수신 금리가 떨어질 때를 잘 살펴보자

3. 수신 금리가 떨어지면 갈 곳을 잃은 현금이 부동산으로 돌아올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