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is...

당신은 안전자산을 준비해두셨습니까? (feat.SVB 파산)

magpie pumpkin 2023. 3. 15. 10:57


내 자산의 가치를 지키자
SVB 파산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좀 더 안전한 투자처와 내 자산의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는 안전자산에 눈을 돌리고 있다. 요즘같이 경기가 불안하고 예측할 수 없는 시장의 흐름인 경우에 투심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안전자산에 쏠리게 된다.

근데 안전자산이 뭔데?!
위험이 없는 금융자산으로서 무위험자산이라고도 한다. 결국 손실의 위험이 없는 금융 자산이라고 보면 된다. 자금이 위험이 낮고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는 우량채권에 자금이 몰리게 되면, 안전자산에 대한 초과투자수요를 유발해 이들 우량채권의 수익률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 위험요소 : 채무불이행 위험, 시장가격 변동의 위험, 인플레이션에 의한 자산의 실질가치 변동 위험


그래서 안전자산에는 무엇이 있는데?!

 

화폐

 

한미 기준금리 추이


1. 미국 및 엔화 : 두 통화모두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기축통화로 원화보다 더 안정적인 투자 방법이다. 사상 최고를 기록하며 1500원까지 바라봤던 환율이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발언으로 3개월만에 1200선까지 내려왔다.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는 1000원~1200원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동되데, 1000원대에 사서 1200원이 넘어가면 판다는 전략을 세우면 안전하게 달러에 투자할 수 있다.

2. 유로화 : 유로화 역시 미국 달러, 엔화와 함께 세계 3대 기축 통화에 속한다.
영국 파운드 : 미국 달러, 엔화, 유로화 다음으로 전 세계 결제량이 많은 통화이다. 전 세계 결제 통화의 6.8%(2022년 9월 기준)를 차지할 정도로 신뢰도와 영향력이 높은 통화 중 하나이다.

 

3. 스위스 프랑 : 글로벌 시장에서 스위스 프랑은 스위스의 안정적인 경제 등을 이유로 대표적인 안전 자산 중 하나로 손꼽힌다. 국내 시장에선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통화지만 세계 금융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친다.

 

 

금, 은 (원자재)

 

금 은 시세


작년 트라이온스당 1722달러까지 떨어졌던 국제 금값이 다시 상승 추세이다. 올해 3월 2040까지 올랐다가 다시 가격이 안정화되고 있지만 1850~1900달러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다 최근 미국 연준 의장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이 내비치면서 금이 다시 주목받으며 반등에 성공했다. 

 

뒤이어 은값 역시 상승 랠리를 펼쳤다. 내년부터 금리 인상이 멈추고 경기 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금의 매력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 투자는 거래소 등에서 금 현물 골드바를 직접 구입하거나 금 선물가격을 추종하는 ETF, ETN 등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채권

 

국내외 국채 금리


채권 투자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개별 채권을 직접 매수하거나, ETF 또는 펀드를 통해 간접 투자할 수 있다. 기준금리 인상 종료가 가까워지고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채권은 안전 자산으로서 투자에 유리하다.
미국채 기준 2023년 기준금리가 5% 부근에서 고점을 형성하면 미국채 가격도 기준금리 고점에 최저점을 기록하게된다. 이렇게 되면 경제위기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유지하거나 인하하게 된다.


실제로 10월 기준 최근 석 달간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채권을 약 2400억 원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지난 9월 발행된 한전채를 살펴볼 만하다. 만기 3년에 표면금리 4.75%로, 2021년 1월 저금리 때 발행된 호텔롯데 채권 표면금리 1%와 대비된다. 금리 인상으로 채권 시장이 올해 굉장히 힘들었지만, 향후 추이를 지켜보며 다가오는 투자 기회를 지켜봐야겠다.

반응형